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1;22(12):1765-1771.
Published online December 1, 2001.
Comparative consistency between obesity determination standards using Body Mass Index and Ideal body weight.
Tong Ryung Jung, Seung Wook Hwang, Jung Un Lee, Mi Ja Cho, Yeol Kim, Tai Woo Yoo
De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a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체질량지수와 이상체중을 이용한 비만도 판정기준간의 일치도 비교 - 서울지역 일개 건강증진센터 수진자를 대상으로 -
황승욱, 정통령, 이정운, 조미자, 김열, 유태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Ideal Body Weight(IBW) is commonly used to determine obesity levels because of its usefulness as target weigh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valuate the comparative consistency between standards of determining obesity levels using the BMI and IBW. And the authors here provide a definition of IBW and attempt to suggest a new classification of obesity by IBW.

Methods : The test subjects for the research were 24,816 patients who received treatment at the such Health Promotion Center between May 1, 1996 and December 31, 1999. The comparative consistency between standards of determining obesity levels using the BMI and IBW were analyzed calculating the kappa value.

Results : The IBW from the Broca methods produced a kappa value of 0.668(p<0.001), while the calculation method for IBW recommended by the Japan Obesity Institute produced a kappa value of 0.664(p<0.001). On the other hand, an IBW calculated as 21(kg/m2)X[height(m)]2 (kg) produced the highest value of consistency at a kappa value of 0.911(p<0.001). After calculating IBW as 21(kg/m2)X[height(m)]2 (kg) and comparing the kappa values while adjusting the boundary zone standards, it was found that defining underweight as below 88% IBW and obesity as above 145% produced the highest value of concurrence at a kappa value of 0.935(p<0.001).

Conclusion : The validity and confidence with respect to the definition of IBW and the determination method for obesity as proposed by the authors may be confirmed through the methods high level of consistency [kappa value = 0.935(p<0.001)] with determination methods using the BMI.
초록
연구배경 : 이상체중은 일반인들이 이해하기에 쉽다는 장점과 목표체중으로서의 유용성 때문에 비만도 판정의 다른 지수들과 함께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태평양지역 지침의 비만도 판정 기준과 이상체중을 기준으로 한 비만도 판정 기준의 일치도를 분석하는 한편, 한국인에 적합한 이상체중을 정의하고 이에 따른 한국인의 비만 판정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6년 5월 1일부터 1999년 12월 31일 까지 서울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수진자 24,8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신체계측치로서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체질량지수와 이상체중을 계산하였다.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한 비만도 판정결과와 이상체중을 기준으로 한 비만도 판정결과의 일치도를 카파 값(kappa value)을 계산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체질량지수를 이용한 비만도 판정법을 표준으로 하였을 때, 브로카 방법으로 구한 이상체중을 기준으로 한 판정법은 카파 값 0.668(p<0.001)의 일치도를 보였다. 일본 비만학회의 이상체중을 이용한 판정법은 카파 값 0.664(p<0.001)의 일치도를 보였고, 남,녀 모두 이상체중(kg) =21(kg/m²) X [신장(m)]²(kg)의 방법으로 구한 이상체중을 이용한 판정법은 카파 값 0.911(p<0.001)로 가장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경계역의 기준을 이상체중의 88%미만을 저체중으로, 145% 이상을 고도비만으로 수정했을 때 카파 값이 0.935(p<0.001)로 가장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결론 : 저자들이 제시한 한국인의 이상체중 정의와 비만도 판정법을 이용하였을 때 체질량지수를 이용한 판정방법과 카파 값 0.935의 높은 일치도를 보임으로써 그 방법의 정확과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