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9;20(12):1741-1751.
Published online December 1, 1999.
Analysis of belief and practice levels of family physicians concerning primary care.
Sung Hee Kim, Chang Hoon Ho, Young Sung Seo, Dae Hyeun Kim, Dong Hak Shin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Korea.
가정의들의 일차의료에 대한 신념 및 수행분석
김성희, 오창훈, 서영성, 김대현, 신동학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belief and practice levels of family physicians concerning primary care, to find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those levels and to know opinions of primary physicians whether primary care is settled or not.

Methods : The target population were those family physicians having finished their three-year residency course in family medicine after 1989. Out of 2,075 people, the addresses 945 were identified of This was a sample population. We excluded 62 persons who worked in medical school. The questionnaires were set twice during July to September in 1998, and contents were construc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items of belief and practice level of five areas of primary care(1977, IOM, Accessi-bility, Comprehensiveness, Continuity, Coordination, Accountability).

Results : Response rate was 32.1% (total : 270 : 1st respondents : 226 : and 2nd : 44).
Average belief level concerning principles of primary care was 4.45 point(5 point scale), and according to area rate continuity, coordination, comprehensiveness, accountability, accessibility. Which was significant(p=0.00). Strength of belief : accessibility, comprehensiveness, coordination, accountability, continuity, which was significant(p=0.00). The highest concordance between belief and practice was accessibility(p=0.00) and the highest practice level(p=0.00). Compared with the unsatisfied group, the satisfied group had higher practice level(p=0.00). Compared with the not-open group, the open group had higher practice level(p=0.00).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practice level were belief level, opening, satisfaction(r2=0.27, p=0.00). The opinion of whether primary care was settled was mostly negative(95.8%).

Conclusion : Although, family physicians were revealed to have relatively high belief and practice level concerning primary care, their opinions about primary care setting were negative. There is a lot of significant gap between individual level as family physician and societal level in primary care. More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to determine the causes of such difference. ( J Korea Acad Fam Med 1999;20:1741-1751)
초록
연구

방법 : 일차의료 제공의 주된 공급자로서 가정의학과 전문의들의 일차의료에 대한 신념 수준과 수행수준을 알아보고, 수행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찾고, 일차의료의 정착 여부에 대한 견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8년 7-9월 동안 가정의학과 전공의 수련과정을 마친 2,075명 중 주소 확인이 가능한 883명(945명 중 의과대학 근무자 62명을 제외)한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2회 시행하였다. 설문 내용은 일반특성들과 일차의료의 원칙(미국의료연구소(IOM), 1977)에 포함되는 5가지 영역(접근성, 포괄성, 지속성, 조정성, 책임성-5 point scale)들에 관한 신념과 수행 수준, 일차의료의 정착 여부에 대한 견해 등의 항목들로 구성하였다.

결과 : 설문 회수율은 33.1%(272명 : 1차 226명, 2차 46명, 반송된 경우 72명)이었고 일차의료의 원칙들에 대한 신념 수준의 전체 평균은 4.45점, 영역별로는 지속성, 접근성, 조정성, 포괄성, 책임성의 순으로 요인별 신념 수준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 수행 수준의 전체 평균은 3.64점, 영역별로는 접근성, 포괄성, 조정성, 책임성, 지속성의 순으로 요인별 수행 수준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 신념과 수행의 수준 사이에는 5 point scale상 0.91점(약 18%)의 차이가 있었으며, 신념과 수행이 가장 일치하는 영역은 조정성이었고 가장 괴리(차이 : difference)가 큰 영역은 지속성이었다(p=0.00). 일차의료의 수행 수준을 높이는 유의한 변수는 일차의료에 대한 신념 수준, 개원(open), 가정의학 선택의 만족도였다(r²=0.27 p=0.00). 일차의료의 정착 여부에 관하여서는 가정의들의 95.8%가 부정적이었으며 환자들의 무관심, 종합병원 지향적인 의료문화, 제도적인 지원의 부족(가정의 외적 요인)과 가정의학의 특성화 부재(가정의 내적 요인)가 중요하였다.

결론 : 가정의들은 일차의료에 대한 개인별 설문에서는 높은 신념과 수행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개원군에서 수행의 수준이 높았다. 반면에 일차의료의 정착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다. 따라서, 개인적 일차의료 수준과 사회적(현실에 적용된) 일차의료 수준 사이에는 상당한 괴리(difference)가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