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in adults who visited family practice clinics: cheonan practice-based research network study. |
Yoo Seock Cheong, Jung Lee Park, Eal Whan Park, Sun Mi Yoo, Ki Sung Kim, Guwang Hwy Kim, Dae Hong Min, Yun Jong Park, Sug Kyu Shim, Young Ill Won, Hung Tag Yeoum, Jong Min Lee, Hye Weon Jung |
1Department of Family Medine, Dank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 2Private Clincs in Cheonan Practice-Basearch Network, Korea. |
개원가 내원 성인에서의 요실금 유병률 - 천안 진료중심 연구망 연구 - |
김기성, 박윤종, 박일환, 심석규, 이종민, 유선미, 정유석, 정혜원, 김광휘, 염형택, 박정희, 원영일, 민대홍 |
1 2 |
|
|
Abstract |
Background : Although urinary incontinence is a common problem, its prevalence and severity in community is not well established. The main objects of this study were to define the prevalence in adult men and women who came to a primary care office for health care.
Methods : Men and women aged 20 years and over who came to family physician's offices seeking health care for any reason during an 2-week period were the subjects of a survey by anonymous questionnaire. Ten family practice offices in Cheonan Practice-Based Research Network parti-cipated. We defined "current significant urinary incontinence' as over any degree of annoying incontinence in the past 12 months.
Results : Of the 1,130 responders, 46.3% experienced urinary incontinence. Incontinence was experienced by 26.7% of the men and 50.2% of the women. 'Current significant urinary incontinence' was experienced by 3.7% of the men and 10.12% of the women.
Conclusion : Urinary incontinence as a common problem among those seen in primary care settings, and patients hesitate to seek consultation of their problems with physicians. Therefore, family physicians should deal with the symptoms of incontinence more attentively during history taking.(J Korean Acad Fam Med 1999;20:55~61) |
초록 |
연구배경 : 요실금은 매우 흔한 질환이지만 지역사회의 유병률이나 양상에 관한 국내의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개원가의 내원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여 요실금의 유병율과 임상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 가정의학 개원가에 방문한 20세 이상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1998년 2월 1일부터 15일까지 2주간 설문조사를 무기명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천안 진료중심 연구망 소속의 10개 가정의학과 진료실에서 시행되었다. 최근 12개월 이내에 상당히 불편할 정도의 요실금을 경험한 경우를 ‘심각한 현증 요실금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 전체 1,130명의 응답자 중에서 전체 유병율은 46.3%였으며 남성은 26.7%, 여성은 50.2%였다. ‘심각한 현증 요실금’ 경험자는 남성은 3.7%, 여성은 10.1%이었다. ‘중등도’ 이상의 요실금 경험자 중에서 다른 의사와 상담한 적이 있는 경우는 22.0%였다.
결론 : 요실금은 일차진료에서 매우 흔한 문제이며 의사에게 잘 상담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가정의는 환자를 문진할 때 요실금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가지고 물어야 할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