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different exercises on regional bone density in young adult female athletes. |
Chan Hee Song, Kyung Soo Kim, Whan Seok Choi, Sun Myeong Ock |
|
태권도와 유도 여자선수에 있어서 부위별 골밀도의 차이 연구 |
송찬희, 김경수, 최환석, 옥선명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 가정의학교실 |
|
|
Abstract |
Background :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regular exercise may increase bone mineral density. However the effects on bone mineral density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s of exercises and recent studies on the effects of different exercises on bone mineral density are insuffici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s of 2 different exercises(Judo, Taekwondo) and physical fitness(back muscle strength, grip strength, broad jump, vertical jump, flexibility, sit ups) on regional BMD.
Methods : Subjects were healthy adults female volunteers aged 19 to 22 years and consisted of eight Judo athletes, twelve Taekwondo athletes, and eight nonathletic controls. We measured their bone mineral density of lumbar spine, femur neck, femoral greater trochanter, Ward's triangle, femoral shaft and distal radius using dual exergy X-ray absorptiometry and assessed their physical fitness. We investigated the mean differences of regional bone mineral density between the group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regional bone mineral density.
Results : ANCOVA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gional bone mineral density between the groups. The Judo athletes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bone density of greater trochanter, femoral shaft, distal radius, femoral neck and lumbar spine that the control group and had significantly higher bone density of greater trochanter, femoral shaft and distal radius than the Taekwondo athletes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bone density in all the regions between the Taekwondo athletes and the control groups.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back muscle strength and the bone density of Ward's triangle, greater trochanter, distal radius, femoral neck, femoral shaft, and lumbar were 0.581, 0.570, 0.526, 0.502, 0.424 and 0.418, respectively(P<0.05).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broad jump and the bone density of femoral neck, greater trochanter, and femoral shaft were 0.577, 0.539 and 0.457, respectively(P<0.05). Correlations of the grip strength, flexibility, sit ups and vertical jump with bone density of all regions were not high(r≤0.5).
Conclusion : Different types of exercises showed different effects of bone density. The back muscle strength among the physical fitness factors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of bone density. In the future,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for the effects of other exercises on bone density. |
초록 |
연구배경 : 청년기의 최대 골질량은 폐경 이후의 골다공증과 골절의 위험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청년기의 규칙적인 운동은 최대 골질량을 증가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골밀도의 증가는 운동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미치며 부위별로 특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태권도와 유도종목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운동종목이 부위별 골밀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고, 아울러 신체적성요인과 골밀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 연구대상은 19세때부터 22세까지의 건강한 여성 자원자들로서, 국가 대표급 유도 선수 8명, 태권도 선수 12명, 그리고 8명의 대조군(의정부성모병원 보조간호사)으로 구성되었다. 1997년 3월부터 5월까지 5차례에 걸쳐 연구대상자의 부위별 골밀도와 신체적성수준을 측정하고, 각각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신체활동량과 영양 섭취량도 함께 조사하였다. 측정치는 Partial correlation과 ANCOVA 분석을 통하여 신체적성요인과 부위별 골밀도 사이의 상관관계 및 세 군간의 부위별 골밀도의 평균치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과 : ANCOVA 분석결과 세 군간의 부위별 골밀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도선수군은 대퇴전자, 대퇴체부, 원위부 요골, 대퇴경골과 요추(L2-L4)부위의 골밀도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골밀도가 높았으며, 대퇴전자, 대퇴체부 및 원위부 요골의 골밀도에서 태권도 선수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골밀도를 나타냈다. 태권도 선수군과 대조군 사이에는 모든 부위에서 유의한 골밀도의 차이가 없었다. 배근력과 Ward's triangle, 대퇴전자, 원위부 요골, 대퇴경부, 대퇴체부 및 요추 부위의 골밀도 사이의 부분상관관계계수는 각각 0.581, 0.570, 0.526, 0.502, 0.424, 0.418 이었다(P<0.05). 넓이뛰기와 대퇴경부, 대퇴전자 및 대퇴체부의 골밀도 사이의 부분상관관계계수는 각각 0.577, 0.539, 0.457 이었다(P<0.05). 유연성, 윗몸 일으키기, 수직높이뛰기와 모든 부위의 골밀도 사이의 부분상관계수는 0.5 미만으로 낮게 나타났다.
결론 : 부위별 골밀도는 운동종목에 따라 서로 다른 영향을 받으며, 신체적성요인 중 배근력이 골밀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가장 좋은 요인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보다 다양한 운동종목을 대상으로 하여 운동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