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xious and depressive trends of bowel disease. |
Im Yu Kim, Chae Gab Lim, Yun Hi Kim, Kyung Soo Kim, Ho Cheol Shin, Eun Sook Park |
|
위장관계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에서의 불안과 우울 성향 |
김임여, 임채갑, 김윤희, 김경수, 신호철, 박은숙 |
가톨릭의과대학 가정의학과 |
|
|
Abstract |
Background : Patients with multiple gastrointestinal symptoms are frequently encountered in family practice, and they are categorized ultimately as a functional bowel disease (non-ulcer dyspepsia or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an organic bowel disease. This study compared the anxious and depressive trends among three groups of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symptoms mentioned above and healthy control group.
Methods : The patient groups with gastrointestinal complaints were comprised of 239 outpatients (male : 104, female : 135)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or internal medicine,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Medical College from February to May, 1992. The healthy control group was 144 subjects (male : 101, female : 43) who visited the Preventive Medicine Clinic for routine health check. Patients groups were divided by independent clinical evaluation into non-ulcer dyspepsia group, irritable bowel syndrome group and organic bowel disease group. For the assessment of anxiety and depression we used Self-rating Anxiety Scale(SAS) and Self-rating Depression Scale(SDS) devised by Zung.
Results : The mean anxiety scores counted by SAS of non-ulcer dyspepsia, irritable bowel syndrome, organic bowel syndrome and control were 41.9±11.5, 38.8±8.3, 40.1±10.1, 33.8±8.3, respectively. All three groups with gastrointestinal complai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nxious trends than the control group(P<0.05). In ma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of the symptom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but in females the two symptom groups except the irritable bowel syndrom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nxious trends than the control group(P<0.05). The mean depression scores by SDS of non-ulcer dyspepsia, irritable bowel syndrome, organic bowel syndrome and control were 46.4±11.2, 41.6±10.9, 44.9±10.5, 40.1±10.1, respectively. The two symptom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pressive trends than the control group(P<0.05). In ma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of the symptom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group, but in female the two symptom groups except the irritable bowel syndrom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pressive trends than the control group(P<0.05).
Conclusion :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nxiety and depression score between bowel disease and health, especially in female patients. This study suggested that anxiety and depression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risk factors of bowel disease. |
초록 |
연구배경 : 위장관 증상을 호소하는 많은 환자들에서 그 발생원인으로 정신사회적인 인자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위장관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을 비궤양성 소화불량증과 과민성 대장증후군 및 기질적 위장장애로 나누어 정신사회적인 요인중 대표적인 불안과 우울성향을 비교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2년 2월부터 5월까지 위장관 증상-구역, 구토, 식욕부진, 복통, 상복부불쾌감, 가스참, 배변변화,변비, 설사 등-을 호소하여 강남성모병원 가정의학과 및 내과 외래를 방문한 초진 환자 중 위내시경 검사나 대장조영술을 실시하기로 한 초진 환자 239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같은 기간에 위장관 증상이 없고 상부위장관 촬영이나 대장조영술상 정상소견을 보인 건강검진자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불안과 우울정도의 평가는 Zung의 불안척도와 우울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 : 불안득점의 평균은 비궤양성 소화불량증, 과민성 대장증후군, 기질적 위장장애에서 각각 41.9±11.5, 38.8±8.3, 40.1±10.1으로 환자군 모두에서 대조군 33.8±8.3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남자의 경우 불안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여자의 경우 각각 45.0±9.4, 40.9±8.0, 44.3±11.0으로 과민성 대장증후군을 제외한 환자군 모두에서 대조군 34.7±5.9에 비해 불안성향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우울득점의 평균은 비궤양성 소화불량증, 과민성 대장증후군, 기질적 위장장애에서 각각 46.4±11.2, 41.6±10.9, 44.9±10.5으로 과민성 대장증후군을 제외한 환자군 모두에서 대조군 40.1±10.1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남자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우울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반면에 여자의 경우 각각 49.2±8.0, 47.2±8.7, 48.0±11.5으로 과민성 대장증후군을 제외한 환자군 모두에서 대조군 39.5±7.4에 비해 우울성향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론 : 다양한 위장관 증상을 호소하여 외래를 방문한 초진 환자들은 위장관 증상이 없었던 건강인 대조군에 비해 불안과 우울성향이 유의하게 높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