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amily function among shift-workers. |
Sung Ho Hong, Je Myoung Chae, Hong Chi Kim, Myo Kyoung Choi, Choo Yon Cho, Tak Seung Nam |
|
교대근무자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및 가족기능에 대한 조사연구 |
홍성호, 채제명, 김홍치, 최묘경, 조주연, 남택승 |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
|
|
Abstract |
Background : This study is how shiftworks among the socioeconomic factors is influenced on family function.
Methods : We have selected 237 shiftworkers group and 248 non-shiftworkers group in the industry and evaluated their family function by Olson's FACESⅢ.
Results : We compared the family function of shiftworkers with that of non-shiftworkers and then the results were below. In FACESⅢ cohesion of shiftworkers there were 59(24.8%) family in disengaged group and 80(33.7%) in separated and 62(26.1%) in connected and 36(15.1%) in enmeshed. In that of non-shiftworkers 52(20.9%) in disengaged and 70(28.2%) in separated and 73(29.4%) in connected and 53(21.4%) in enmeshed. In FACESⅢ adaptability of shiftworkers, there were 71(29.9%) family in rigid and 82(34.5%) in structured and 60(25.3%) in flexible and 24(10.1%) in chaotic. In that of non-shiftworkers 64(25.8%) in rigid and 84 (33.8%) instructured 65(26.2%) in flexible and 35(14.1%) in FACES III family types of shiftworkers there were 88(37.1%) family in balanced and 108(45.5%) in midrange and 41(17.2%) in extreme. In that of non-shiftworkers 88(35.4%) family in balanced and 116(46.7%) in midrange and 44(17.7%) in extreme.
Conclusion : In this resuls we found it ou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at in shiftworkers there were more prevalent in disengaged and rigid family than that of non-shifftworkers and in non-shiftworkers there were more prevalent in enmeshed and chaotic family. In family typ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wo groupes |
초록 |
연구배경 : 본 연구는 사회 경제적인 요인들 중 교대근무가 가족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방법 : 1992년 3월 9일부터 1992년 4월 30일까지 공단지역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교대근무를 하는 237가족과 교대근무를 하지 않은 248가족을 선정하여 올슨(Olson)의 가족적응력결속력 평가 척도를 이용하여 두군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가족의 결속력은 교대군에서는 이탈된 가족이 61(25.7%), 분리된 가족이 80(33.6%), 연결된 가족이 62(26.1%), 밀착된 가족이 34(14.3%)이었고, 교대군무를 하지 않은 군에서는 이탈된 가족이 49(19.8%), 분리된 가족이 70(28.2%), 연결된 가족이 73(29.4%), 밀착된 가족이 56(22.6%)이었다. 가족의 적응력은 교대군에서는 경직된 가족이 73(30.8%), 구조화된 가족이 82(34.5%), 유연한 가족이 60(25.4%), 혼란된 가족이 22(9.3%)이었고, 교대근무를 하지 않는 군에서는 경직된 가족이 61(24.6%), 구조화된 가족 84(33.9%), 유연한 가족이 65(26.2%), 혼란된 가족이 38(15.3%)이었다. 가족유형에서 보면 교대군에서는 조화형의 가족이 88(37.1%), 중간형의 가족이 108(45.5%), 극단형의 가족은 41(17.2%)이었으며, 교대근무를 하지 않는 군에서는 조화형의 가족이 88(35.4%), 중간형의 가족이 116(46.7%), 극단형의 가족이 44(17.7%)이었다.
결론 : 교대근무를 하는 가족군에서는 이탈형과 경직형의 가족이 많았고, 교대근무를 하지 않은 가족군에서는 밀착형과 혼란형의 가족이 많았으며, 가족유형에는 교대근무를 하는 가족군과 교대근무를 하지 않는 가족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