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2;13(5):442-449.
Published online May 1, 1992.
Errors in death certificates in Korea.
Dong Kyun Park, Soo Young Kim, Jae Heon Kang, Seung Ho Han, Cheol Hwan Kim, Myeong Chun Lee, Tae Woo Yoo, Bong Yul Huh
사망진단서 사인 기재상의 오류에 관한 연구
이명춘, 김철환, 유태우, 허봉렬, 박동균, 김수영, 강재헌, 하성호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Death certificates are important data about death, which represent the changing pattern of disease and make it possible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mong other groups. But often there are error occurring tendencies which are due to the inaccuracy of diagnosis and inaccuracy of filling up death certificates, and which reduce the validity of death statistics. We reviewed the death certificates for the purpose of getting information about the incidence and the types of errors.

Methods : we reviewed a sample of 1047 death certificates collected at the Department of Statistics in Feb 1991. Seven items based upon WHO criteria were checked in the review, and we compared the error rate among to geographical districts, medical specialties, hospital size and year in which the physician who completed the death certificate obtain his/her medical license.

Results : One or more errors were found in 56.4% of death certificates. Of the total number of errors, 39% were due to listing the mechanism of death(such as cardiac arrest or respiratory arrest) as the immediate cause of death, 18.2% due to failing to state the immediate cause of death, 9.2% due to listing nonspecific disease entities instead of specific medical diagnosis, 8.3% due to listing illogical relationship between causes, 7.4% due to failing to state the underlying cause of death, 7.1% due to reversing the immediate and underlying cause of death, 5.6% due to part I containing conditions not or mannerly contributing to death in addition to the underlying cause of death, 2.5% to failing to certain information about E codes, 1.3% to part II containing either an underlying cause of death or a complication of the cause of death, and 1.5% to contain only the mechanism of death. We could not determine the precise underlying cause of death in 10.8%. Furthermore, up to 13.2% of death certificates may have involved inappropriate selection for the underlying cause of death. There are no differences in errors among districts, specialties, and hospital size. There are slightly more errors of death certificates recorded by the physician who obtains their licenses before 1960.

Conclusion : The accuracy of death certificates was low. So we need more attention in filling up death certificates.
초록
연구배경 : 사망진단서는 질병의 변화양상을 보여주고 다른 집단간의 건강상태비교를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사망자료로 내용의 완전성과 정확성이 중요한 요건이다. 사망진단서를 작성할 때는 흔히 진단의 부정확과 기재의 부정확에 따른 오류가 발생하여 사망통계의 정확성을 떨어뜨리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사망통계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한 시도로, 국내에서 작성된 사망진단서를 검토하여 오류의 발생정도와 그 유형을 알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방법 : 1991년 2월에 통계청에 접수된 2,500여장의 사망진단서중 발행일이 1991년 1월 1일부터 1월 20일 사이와 1991년 2월 1일부터 2월 10일 사이인 진단서 1047장을 편의추출하여 미리 정해진 항목에 대하여 진단서의 사인란을 평가하였다. 또한 사망진단서를 작성한 의사의 전문과목과 면허취득년도, 지역, 병원의 규모등에 따른 오류발생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사망진단서 기재상의 오류는 56.1%이었으며 오류의 유형은 직접사인에 죽음의 현상을 기록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죽음의 과정(직접사인)을 생략한 경우가 그 다음으로 많았다. 진단서를 보고 원사인을 선정할 수 없는 경우가 10.0%, 원사인 선정과정중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가 12.6%이었다. 의사의 전문과목이나 지역, 병원규모에 따른 진단서기재 오류발생에는 차이가 없었다. 면허취득연도별 오류정도는 1960년 이전이 더 높았다.

결론 : 사망진단서기재시의 오류발생은 상당히 많다. 따라서 의사가 사망진단서를 작성할 때는 작성지침을 숙지한 후 적극적으로 사인을 추론하여 죽음의 기전과 과정, 부수적으로 영향을 주는 사인을 좀더 완전하고 정확하게 기재하는 것이 필요하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