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8;29(2):114-120.
Published online February 10, 2008.
Relationship between Fatty Liver and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Kyung Hee Han, Hee Jeong Choi, Seung Hee Hong, Sang Hwan Kim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Eulji University Hospital,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aejeon, Korea. fanin@eulji.ac.kr
폐경 후 여성에서 지방간과 골다공증의 관련성
한경희,최희정,홍승희,김상환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을지대학병원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fatty liver and osteoporosi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We examined postmenopausal women who participated in a health screening test from April 2004 to November 2007. Data about lifestyle and current medical diseases and medications were collected from medical records and medical interviews. Body weight, height, waist circumference and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Bone mineral density (BMD) was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nd body composition analyzer and abdominal ultrasonography were conducted for each participant. Results: One thousand two hundred forty-five postmenopausal women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In postmenopausal women, the spine BMD levels (g/cm2)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subjects with normal (0.819± 0.004), mild (0.846±0.007), moderate (0.844±0.009) and severe (0.779±0.031) fatty liver adjusted for age (P<0.01). The proportion of osteoporosi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subjects with normal (39.1%), mild (30.3%), moderate (31.6%) and severe (56.3%) fatty liver.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fatty liver and osteoporosis after age, body mass index,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regular exercise. In severe fatty liver compared to the normal subjects of fatty liver, adjusted odds ratio was 3.6 (95% CI 1.2∼10.9). Conclusion: In severe fatty liver disease, the proportion of osteoporosis was increased and the bone mineral density was lower than the normal subjects of fatty liver. (J Korean Acad Fam Med 2008;29:114-120)
Key Words: fatty liver, osteoporosis, bone mineral density, obesity, menopause
초록
연구배경: 최근 비만인구가 증가함에 따라서 지방간을 진단받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지방간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만성질환과 관련이 있다. 골다공증은 폐경 이후의 여성에서 증가하는데, 골절을 유발하여 삶의 질에 영향을 준다. 이 연구는 폐경 후 여성에서 지방간과 골다공증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7년 11월까지 건강 검진을 받은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의 생활습관과 현재병력은 자가 기입 설문지와 의사와의 면담을 통해 조사하였고, 신장, 체중, 허리둘레, 혈압 등을 측정하고 체성분 분석, 척추골밀도와 복부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는 1,245명이며, 지방간의 단계에 따라 비만지표, 혈압, 공복혈당과 지질지표 등은 높은 수치를 보였다(각각 P for trend <0.01). 폐경 후 여성에서 나이를 보정한 후 지방간 정도에 따른 척추골밀도(g/cm2)는 지방간이 없는 경우 0.819±0.004, 경도 0.846±0.007, 중등도 0.844±0.009, 중증 0.779±0.031으로 지방간의 단계에 따라서 척추골밀도가 높은 수치를 보이다가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P<0.01). 골다공증의 비율은 지방간이 없는 군에서는 39.1%이고, 경도 30.3%, 중등도 31.6%, 그리고 중증 56.3%였으며 나이, 체질량지수, 흡연, 음주, 규칙적인 운동 등을 보정한 후에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중증의 지방간이 있는 경우에는 지방간이 없는 여성에 비해 골다공증이 3.6배(95% 신뢰구간 1.2∼10.9) 많았다. 결론: 폐경 후 여성에서 중증의 지방간에서는 골다공증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골밀도가 낮은 수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심 단어: 지방간, 골다공증, 골밀도, 비만, 폐경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