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Physical Activity - mesure Methods for the Field of Primary Care. |
Eun Sook Park, Ho Cheol Shin, Im Yu Kim, Yun Hi Kim, Woo Sung Jo, Whan Suk Choi |
|
1 차 진료 영역에서 신체활동량 측정 방법 연구 |
박은숙, 신호철, 김임여, 김윤희, 조우성, 최환석 |
가톨릭의과대학 가정의학과 |
|
|
Abstract |
Background : Physical activity is highly associated with health, especiall reduces the risk coronary heart diseases and strengthens cardiovascular system, and then reduces morbidity and mortality. One of the most reliable and valid measures of physical activity is direct observation but it is not practical due to the most costly and burdensome. There this study compares two methods, Stanford 7-day Physical activity Recall questionnaire and electronic motion sensor monitor, and evaluates usefulness of these two methods in the field of primary care.
Methods : Fifty-one young male-adults in the second and third decades were recruited, 11 from medical school students, 15 from college students and 25 from residents and interns of university hospital doctors. Each subject was required to complete the Stanford 7-day Physical Activity Recall questionnaire and wear electronic motion sensor one day a week. Two weeks later, the second test was perfomed as the same way.
Results : In questionnaire. total physical activity was classified as sleep, light, moderate, hard and very hard activities. Mean hours spent for each activity for a week were 45.02±7.43, 99.11±13.19, 19.72±9.84, 2.90±3.04, 0.94±1.78 hours and reliabilities measured by test-retest were 0.72, 0.64, 0.70, 0.52, 0.55(p<0.01). The mean of daily energy expenditure was 42.74±5.14 kcal/kg/day and the reliability was 0.65(p<0.01). Means of daily walking steps, distances and energy consumption for walking measured by electronic motion sensor were 13,195±5,036 steps, 6.58±2.55 km, 578.5±257.2 kcal and each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sts was 0.65, 0.65, 0.75(p<0.01). In comparison the energy expenditures resulted form Stanford questionnaire with the walking energy consumption from electronic motion sensor, the correaltion coefficients were -0.18(p=0.22) for sleep, -0.39(0=0.06) for light, 0.56(p<0.01) for moderate, -0.01(p=96) for hard, -0.02(p=0.91) for very hard activities in the first test. The moderate activity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in both first and second tests(p<0.01).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e Standard 7-day Physical Activity Recall questionnaire showed high reliabilities and relatively high correlation coefficieny with electronic motion sensor, especially in moderate activity, therefore it seems that the concurrent use of both methods for physical activity measure is more valuable than single use in the field of primary care and epidemiologic study. |
초록 |
연구배경 : 신체활동량의 증가는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특히 관상동맥 질환을 감소시키고 심혈관계를 강화시키므로써 유병률과 사망률을 감소시킨다. 신체 활동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직접적인 관찰이 가장 정확하지만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어서 실용적이지 못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Stanford 7-day Physical Activity Recall 설문지와 전자동작감지기를 이용하여 두 방법을 비교함으로써 이 두가지 방법이 1차 진료 영역에서 신체활동량측정에 얼마나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방법 : 2,30대 한국 젊은 성인남자인 의과대학생 11명, 일반대학생 15명, 종합병원 수련의(인턴,전공의)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차 검사는 이들에게 Stanford 7-day Physical Activity Recall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고 전자동작감지기를 만 24시간 동안 몸에 부착하고 일상생활을 하도록 한 후 그 결과를 기록하였고 2차 검사는 정확히 2주 후에 똑같은 방법으로 검사하여 그 결과를 기록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설문지의 결과에서 이들의 일주일 동안의 총활동량을 수면, 가벼운 활동, 중등도 활동, 힘든 활동, 매우 힘든 활동량으로 나누어서 분석했을때 각각의 평균은 45.02±7.43, 99.11±13.19, 19.72±9.84, 2.90±3.04, 0.94±1.78 시간이었고, 재검사법에 의한 상관계수로 평가한 신뢰도는 각각 0.72, 0.64, 0.70, 0.52, 0.55(p<0.01)이었다. 하루 에너지 소비량의 평균은 42.74±5.14 kacal/kg/day이며 신뢰도는 0.65이었다(p<0.01). 전자동작감지기를 이용한 결과에서 대상자들의 하루동안의 도보수, 도보거리, 도보시 이용된 에너지 소비량의 평균은 각각 13,195±5036보, 6.58±2.55km, 578.5±257.2kcal이었고, 1차 검사와 2차 검사의 상관 계수는 각각 0.65, 0.65, 0.75(p<0.01)이었다. 설문지로 측정한 각 활동 강도별 하루 에너지 소비량과 전자동작감지기로 측정된 에너지 소비량을 비교할 때 상관관계가 1차 검사 분석에서 수면 -0.18(p=0.22), 가벼운 활동 -0.39(p=0.006), 중등도 활동 0.56(p<0.01), 힘든 활동 -0.01(p=0.96), 매우 힘든 활동 -0.02(p=0.91)로 이들 중 중등도 활동과 가장 연관이 컸으며 2차 검사에서도 마찬가지로 중증도 활동과의 연관성이 높았다(p<0.01).
결론 : 본연구에서 Stanford 7-day Physical Activity Recall 설문지는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고 특히 중등도 활동과 전자동작감지기와는 비교적 그 상관관계가 크므로 1차 진료 영역에서 신체 활동량 측정 방법 및 역학연구에서 각각 한가지 방법으로만 측정하는 것보다 두가지 방법을 함께 이용하므로써 상호 보완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