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5;16(6):402-411.
Published online June 1, 1995.
Clinical Review of the Diverticulosis of the Colon.
Jong Yeal Lee, Soon Won Hong, Jung Goo Kang, Seung Cheol Kim, Sun Joung Park, Yck Do Park
대장게실질환의 이상적 고찰
이종열, 홍순원, 강중구, 김승철, 박선정, 박익도
한양대학교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Diverticular disease of the colon is common in western population, but rare in oriental population. Recently there is increasing tendency in the incidence of the diverticular disease in Korea because of change the diet pattern and development in the diagnostic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linical characteristics in diverticular disease of the colon.

Methods : We experienced 28 cases of diverticular disease of the colon from March 1991 to July 1994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Seoul Christian General Hospital. We study to the age and sex distribution, symptoms and signs,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diagnosis, location and number of diverticulum, operation method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 The peak incidence of age group was 3rd to 4th decade. The ratio between male and female was 6:1. The most frequent symptoms and signs were RLQ pain and tenderness. The preoperative diagnosis were acute appendicitis in 75.0% and peritonitis in 14.3%. The methods of surgical treatment were right hemicolectomy in 11 cases, diverticulectomy and appendectomy in 9 cases, appendectomy in 4 cases and others. The most common location of diverticulum was cecum in 19 cases. The ratio between right side diveticulum and left side diverticulum was 12.5:1(p<0.05). The number of diverticulum was 14 cases in solitary type and 14 cases in multiple type.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wound infection in 1 case, pneumonia in 1 case, postoperative partial intestinal obstruction in 1 case and others. There was no postoperative mortality.

Conclusion : When suspected acute appendicitis, we must rule out the colonic diverticulitis. After the confirmation of the number and location of diverticulum through the preoperative barium enema as possible, the excision of diverticulum should be done. During the operation for the acute appendicitis, compared the clinical symptoms and signs to the operative findings. If disconcorded, we whave to explore the diverticulum and then excision of the diverticulum shoud be done. The residual diverticulum can confirm through postoperative barium enema.
초록
연구배경 : 대장게실질환은 서구인에게는 흔하나, 우리나라에서는 드문 질환이다. 최근 식생활의 변화와 진단방법의 발전으로 국내에서도 점차 증가 추세로 대장게실증의 임상적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대장게실증의 임상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1년 3월부터 1994년 7월까지 41개월동안 서울기독병원 일반외과에서 수술로 확인된 28예의 대장게실질환을 대상으로 연령 및 성별, 임상증세 및 이학적 소견, 수술전 및 수술후의 진단, 발생부위별 분포, 수술방법, 수술후 합병증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 연령 및 성별 분포는 22세부터 73세까지 다양하였으며 20~30대에서 18예(64.5%)로 가장 많았고, 남녀비는 6:1로 남자가 높은 발생율을 보였다. 임상증세는 우하복부 동통 및 압통이 20예(71.4%)로 가장 많았으며, 그외 발열 12예(42.9%), 오심 및 설사가 각각 6예(21.4%) 등이며, 증세가 있었던 기간은 3일 이하가 19예(67.9%)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3.0일 이었다. 수술전 진단명은 급성충수돌기염이 21예(75.0%)로 가장 많았고, 복막염 4예(14.3%), 게실염 2예(7.1%), 농양을 형성한 게실염 1예(3.6%)이었으며, 이중에서 게실염으로 진단한 경우는 수술전에 바륨대장조영술을 시행한 5예중 3예이었다. 수술후 진단명은 게실염 17예(57.2%), 농양을 형성한 게실염 5예(18.0%), 게실천공 6예(21.4%)이었다. 수술방법은 우반대장절제술이 11예, 충수돌기절제술과 게실절제술은 9예, 충수돌기절제술은 4예를 시행하였고, 좌측대장의 경우 3예는 각각 대장아전절제술, 하행-S상 결장절제술, Hartmann씨 술식을 시행하였다. 게실의 발생부위는 우측대장 25예(89.3%), 좌측대장 2예(7.1%), 양측대장 1예(3.6%)로 우측이 좌측보다 12.5배 높게 발생하였다(P<0.05). 겟ㄹ의 수에서는 28예중 단발성이 14예, 다발성이 14예로 같았다. 수술후 합병증은 창상감염, 폐렴, 장유착으로 인한 부분장폐색 및 근위부 결장조루술부위 괴사가 각각 1예 있었으나 후유증 없이 치유되었다.

결론 : 급성충수돌기염으로 추정되는 환자에서는 대장게실증을 감별해야하며, 게실증이 의심스러운 경우에는 가능한 한 수술전에 바륨대장조영술을 시행하여 게실의 수와 위치를 확인한 후, 게실을 포함한 절제술을 시행하여 향후 합병증으로의 이행을 줄일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