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 Fam Med Search

CLOSE


Korean J Fam Med > Volume 31(9); 2010 > Articl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10;31(9):672-678.
DOI: https://doi.org/10.4082/kjfm.2010.31.9.672    Published online September 20, 2010.
Relationship between Serum Uric Acid Level and Hypertension: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Sunjin Hwang, Kyung Eun Lee, Byoung Hun Lee, Jung Im Gwak, Jun Hyun Yoo, Yoon Ho Choi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drjohn.yoo@samsung.com
2Center for Health Promotion,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혈청 요산 농도와 고혈압 발생과의 연관성
황선진, 이경은, 이병헌, 곽정임, 유준현, 최윤호
1
2
Abstract
Background
Many epidemiological studies suggest the pathogenic role of serum uric acid level in development of hypertension. Several cross-sectional studies have shown the relationship between uric acid and development of hypertension in Korea. We investigated whether uric acid associates with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in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Methods: We included 2,353 people who did not have hypertension initially and underwent general medical examination between 1997 and 1998 and were re-examined after 10 years later. Study peopl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serum uric acid level tertiles. Results: The incidences of hypertension in tertile groups were 14.1% (108/764), 22.0% (175/769), and 24.3% (193/793) and the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 performe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ith serum uric acid and other risk factors of hypertension. The incidence of hypertension in second and third tertil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first tertile group (odds ratio [OR], 1.53; 95% confidence interval [CI], 1.11 to 2.10; P = 0.009 in second tertile group and OR, 1.66; 95% CI, 1.17 to 2.37; P = 0.005 in third tertile group). Conclusion: Serum uric acid level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Key Words: Serum uric acid level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초록
연구배경: 여러 역학적인 연구들이 혈청 요산 값과 고혈압 발생 사이의 관련성에 대해 보고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몇몇 단면 연구들에서 요산과 고혈압 발생 간의 관련성이 보고되었으나 장기간의 종적 연구는 부족한 상태다.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통해 요산과 고혈압 발생 사이의 관련성을 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시내 일개 대학병원 1997년에서 1998년 건강검진 수검자 중 10년 후 재차 검진 시행한 사람을 대상으로 최초 검진 당시 고혈압이 있었던 사람들은 배제하였다(N=2,353). 대상자들은 최초 검진 시 혈청 요산 값에 따라 낮은 군을 1분위 군으로 하고 높은 군을 3분위 군으로 하여 삼분위 수로 나누어 각 군간 10년 후 고혈압 발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각 3분위 군에 따른 고혈압의 발생률은 14.1% (108/ 764), 22.0% (175/769), 24.3% (193/793)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요산 삼분위 군과 함께 고혈압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포함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3분위 군과 2분위 군은 1분위 군에 비해 고혈압 발생의 교차비가 각각 1.66 (95% 신뢰구간, 1.17-2.37; P=0.005), 1.53 (95% 신뢰구간, 1.11-2.10; P=0.009)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혈청 요산 값은 고혈압 발생과 관련된 인자들을 보정한 상태에서 고혈압 발생과 유의하게 관련이 있었다.
중심 단어: 요산; 고혈압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