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5;16(11):751-759.
Published online November 1, 1995.
The Relationship between hearing impairment and depression in the eldeuy.
Ho Cheol Shin, Eun Sook Park, Whan Seok Choi, Woo Sung Cho, Sang Wook Song, Jae Hyun Song
노인에서의 청력장애와 우울성향과의 관련성
신호철, 박은숙, 최환석, 조우성, 송상욱, 송재현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It is known that hearing impairment is one of the most common of all physical impairments with aging process, but in clinics physicians seldom screen the elderly for it, and patients often overlook hearing problems.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hearing impaiment inevitably leads to a breakdown in communication and consequent physical and mental problems, and therefore a highte degree of social isolation. Nevertheless, few community based studies have been undertaken to examine both the mental and more general physical state of the elderly with hearing impairment. This study therefore sought to examine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in a general practice who reported experiencing difficulty with hearing, and also th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is and depression.

Methods : Self-administered screening questionnaire(HHIE-S, SDS, Katz Index) including epidemiological data were given to 261 the elderly over the age of 60 years during period from July 1994 to October 1994 living in Ahansan and were selected appreciable 216 of them. Hearing impairment tendency was based upon HHIE-S as cut off point 8 and depression tendency was based upon SDS as cut off point 50. Katz Index was used for excluding clos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disability and depression.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test.

Results : The prevalence of hearing impairment in this sample was 25.9%. The factors tha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earing impairment were age, education degree, present occupation, marital status, but sex, chronic disease, monthly income, religion were not associated with hearing impairment. The factors that were sigr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were sex, age, monthly income, religion, and which were very sigr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were education degree, marityal status, but present occupation, chronic disease were not associated with depression. There wass a very close association between age and hearing difficulty(P<0.01). On logistic regression test, the hearing impairment was the only variable that shows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depression.

Conclusion : Depression might occur commonly with hearing impairment. Since hearing impairment is a very common problem in the elderly. We recommend when a primary care physician see the elderly that he shouldconsider the coincidence of depression of hearing impairment and evaluate both ailments.
초록
연구배경 :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가장 흔한 신체기능저하 중 하나로 청력장애를 들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임상에서는 청력장애에 대한 조기 발견 및 치료의 필요성을 간과하여 왔다. 많은 연구들에서 청력장애와 정서적 문제가 관련이 있음을 보고하였기에 본연구에서는 청력장애와 우울성향과의 관련성 여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의 대상은 1994년 7월부터 10월까지 경기도 안산 시에 소재한 일부의 아파트 단지에서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들 348명 중 설문에 응한 216명 중 불안전한 설문지 작성자 13명과 신체적 활동에 장애가 있는 32명을 제외한 216명(남자 80명, 여자 1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청력장애의 여부를 알기 위하여 HHIE-S(Hearing Handicap Inventory for the Elderly-Screening Version)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우울성향에 대한 조사 방법은 Zung의 자가평가우울척도(Self-Rating Depression Scale : SDS)를 이용하였다.

결과 : 60세 이상 조사 대상자 216명 중 청력장애자는 56명(25.9%), 정상인은 160명(74.1%)이었다. 청력장애의 유무를 HHIE-S Score가 cutoff point 8점으로 하였을 때 청력장애는 성별, 만성병유무, 가족의 월 수입, 종교 여부와는 연관성이 없었다. 하지만 연령, 교육 정도, 현재 직업 유무, 배우자의 유무와 청력장애와는 매우 연관성이 있었다. SDS Score가 50점이상일 때 우울성향이 있는 것으로 볼 때 현재 직업 유무, 만성병 유뮤와 우울성향과는 연관성이 없었고 성별, 연령 가족의 월 수입, 종교와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고, 교육 정도, 배우자의 유무와는 매우 관련성이 있었다. 60대, 70대, 80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청력장애도 점차 증가하였는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우울성향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요인들에 대하여 Logistic regression을 시행한 결과 청력장애 유무만이 우울성향과 매우 관련성이 있었다.(P<0.01)

결론 : 60세 이상의 노인에서 성별, 나이, 교육 정도, 배우자 유무와 청력장애는 우울증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들 각자의 상호작용을 배제한 결과 청력장애만 우울증과 매우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일차 의료를 담당하고 있는 가정의는 노인 환자에서 청력검사에 대한 선별 검사를 시항하여 청력검사와 동반하는 우울증의 진단과 치료에 관심을 기울여야할 것이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