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4;25(1):28-33.
Published online January 10, 2004.
Correlation between Aortic Stiffness and Abdominal Adiposity.
Yoo Lim Moon, Chang Gyu Park, Youn Seon Choi, Seung Jin Lee, Myung Ho Hong, Min Jung Kim, Young Ji Cho, Han Seoung Song, Kyung Hwan Cho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Korea.
2Department of Cardiology,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Korea. parkcg@kumc.or.kr
3Chunan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Soon Chun Hyang University, Korea.
대동맥경화도와 복부지방과의 상관관계
문유림,박창규,최윤선,이승진,홍명호,김민정,조영지,송한승,조경환
1
2
3
Abstract
Background
: Arterial stiffness is a strong indicator of cardiovascular risk. Increased visceral fat confers greater risks of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vascular ev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rterial stiffness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abdominal adiposity (i.e. subcutaneous and visceral adipose tissue).

Methods : Thirty obese participants (M:F=17:13, mean age=53.6±12.0 years) underwent anthropometric measurements, laboratory procedures such as serum lipid levels and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scan. The aortofemoral pulse wave velocity was measured by foot to foot method using two continuous Doppler waves.

Results : Pulse wave velocit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ge, hip circumference (P<0.01), visceral to subcutaneous abdominal fat ratio and body weight (P<0.05), but independent of the total abdominal, visceral, and subcutanous fat. Although not positively associated, the mean pulse wave velocity tended to be higher in patients with history of hypertension or diabetes.

Conclusion : The site of abdominal fat distribution contribute to the prediction of arterial stiffness and visceral adiposity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events.
Key Words: abdominal adiposity, pulse wave velocity, aortic stiffness
초록
연구배경 : 대동맥 경화도는 최근 가장 강력한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로 평가되고 있다. 복부지방은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으로 나뉘며 이중 내장지방이 대사성 증후군 및 심혈관질환 위험성과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대동맥 경화도가 특정 복부지방의 증가와 연관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 2002년 9월부터 2003년 2월 사이에 서울의 모 대학병원의 비만클리닉에 내원하여 컴퓨터 단층촬영을 이용한 복부지방측정을 시행한 환자 중 심초음파를 통한 대동맥맥파전파속도(pulse wave velocity, PWV)의 측정을 시행한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대동맥맥파전파속도와 복부지방, 내장지방 대 피하지방면적비,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키, 몸무게, 허리둔부둘레비 및 혈중지질농도 등과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 대동맥맥파전파속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발견된 인자로는 피하지방면적에 대한 내장지방의 비, 키, 몸무게(P<0.05), 나이, 엉덩이둘레(P<0.01)가 있었으며 복부총지방, 내장지방, 피하지방면적, 허리둔부둘레비,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혈중 지질농도와는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당뇨나 고혈압 환자군에서 대동맥맥파전파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지는 않았으나 환자군에서의 평균값은 증가되어 있었다.

결론 : 피하지방면적에 대한 내장지방비가 증가한 복부비만 환자군에서 대동맥 경화도가 증가되어 있는 결과는 복부지방의 종류에 따라 심혈관 위험도가 달라짐을 의미하며 향후 내장지방과 심혈관질환 발생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중심 단어: 체질량 지수, 체지방량, 비만, 임피던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