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1;22(2):192-199.
Published online February 1, 2001.
The association between indicators of central obesity and bone mineral density in women.
Ji Hyun Moon, Jin Kyu Lee, Ok Hee Lee, Sang Yeoup Lee, Yun Jin Kim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여성에서 중심성 비만의 척도와 요추 골밀도와의 관련성
문지현, 이진규, 이옥희, 이상엽, 김윤진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Obesity is a protecitive factor of osteoporosis,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health proplems in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indicators of central obesity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in women.

Methods : Among the healthy people who visited a tertiary hospital in Pusan for health exam from January to May 1999, we selected 303 women. We measured body mass index(BMI), waist, waist-to-hip ratio(WHR), menopausal period, and BMD.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following test used: correlation and partial correlation adjusted for age and menopausal period.

Results : The total subjects consisted of 162 premenopausal and 141 postmenopausal women. In all subjects, BMI and WH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pinal BMDs, but after controlling for age and menopausal period, BMI (r=0.322, P<0.01) and waist (r=0.220, P<0.01) were related to spinal BMDs. In the premenopausal group, spinal BMDs were correlated with BMI, waist, but after controlling for age, they were related to BMI (r=0.270, P<0.01) and waist(r=0.193, p<0.05). In the postmenopausal group, BMI, waist and menopausal period were correlated with spinal BMDs, and after controlling for age and menopausal period, BMI(r=0.365, p<0.01) and waist(r=0.251, p<0.01) remained related to spinal BMDs. In women of BMI below 25kg/m², spinal BMDs were correlated with waist(r=0.163, P=0.02)and not WHR.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waist, not WHR was associated with spinal BMDs in women.
초록
연구배경 : 비만은 노후 건강의 질을 저하시키는 중요한 건강 문제 중 하나인 골다공증의 보호인자이다. 저자등은 여성에서 특히 중심성 비만의 척도와 골밀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9년 1월부터 5월까지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부산의 한 3차 병원을 방문한 비교적 건강한 여성들 중 303명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허리-둔부비, 폐경 기간 등과 요추 골밀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요추 골밀도는 미국 Lunar사의 양에너지 방사선 골밀도 측정기를 사용하여 구하였다.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상관분석을 하였고 연령과 폐경 기간에 대한 보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 전체 303명 중 폐경 전 여성군은 162명, 폐경 후 여성군은 141명이었다. 전체 여성에서 체질량지수와 허리-둔부비가 골밀도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연령과 폐경 기간을 보정한 후에는 체질량지수(r=0.322, P<0.01)와 허리둘레(r=0.220, P<0.01)가 골밀도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폐경 전 여성군에서는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가 골밀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연령을 보정한 후에도 체질량지수(r=0.270, P<0.01)와 허리둘레(r=0.193, P<0.05)는 골밀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폐경 후 여성군에서는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폐경기간이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연령과 폐경기간을 보정한 후에도 체질량지수(r=0.365, P<0.01)와 허리둘레(r=0.251, P<0.01)는 골밀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체질량지수 25kg/m²미만인, 비만하지 않은 여성 205명을 대상으로 연령과 폐경기간을 보정한 결과 역시 허리-둔부비와는 달리 허리둘레는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0.163, P=0.02).

결론 : 여성에서 중심적 비만의 척도 가운데 허리-둔부비가 아닌 허리둘레가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