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7;18(12):1483-1499.
Published online December 1, 1997.
Relationship of Family Function with Life Event Stress and Depression in Healthy Adult Males.
Young Mee Lee, Youn Seon Choi, Myung Ho Hong
건강한 성인 남자에서 가족기능 , 생활사건 스트레스 , 우울간의 상관관계
이영미, 최윤선, 홍명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Many of the major life events that appear to affect biologic system and health occur within the context of the family and can have a profound psychosocial and biologic impact on family memebers. So,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mins the relati-ons of family function with stressful life events, depression, and physi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reported by partients.

Methods : Design : Cross sectional, observational study. Participants : 41 healthy adult males from a family medicine ambulatory care unit in a tertiary hospital located in Guro completed a series of psychometric instruments that include the Family APGAR(Adaptation, Parnership, Grorwth, Affection, and Resolve< FACESIII(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 Modified 46-item Stressful Life Events Scale, Lee's 98-items Stressful Life Event Scale, Korean version of BEPSI(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and BDI(Beck's Depression Inventory Scale).

Results : Family APGAR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tress related life event(both in total negative events -0.30, -0.37, respectively ; p<0.05) and BEPSI(0.56, p<0.0001). No significant correlation could be found between family function and positive life events. Family APGAR also reveal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BDI(-0.61;p<0.0001). Among the three family types, severe dysfunctional family demonstrated highest level of stressful life events, score,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p<0.05).

Conclusion : The higher the assessment of the family functions(Family APGAR), the lower the level of stressful life events,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There, knowledge of the family function, stress, and coping could useful to family physicians in the whole person approach of their patients.
초록
연구배경 : 스트레스는 정신 및 신체 질환의 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가족기능은 스트레스로 인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는 중요한 자원으로 알려져 있어 가족기능, 생활사건 스트레스, 우울간의 상관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법 : 1997년 5월부터 7월까지 모 대학병원 가정의학과는 방문한 30대 및 40대 건강한 성인 남자 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족기능 및 스트레스의 평가도구로는 가족기능도지수(Family APGAR) 및 가족적응력결속력척도(Family Adaptation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 기존의 설문지를 수정한 46문항의 생활사건설문지 및 한국어판 BEPSI(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를 이용하였다. BDI(Beck's Depression Inventory Scale)로 우울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건강상태조사는 코넬의학지수를 사용하였다. 가족기능, 스트레스, 우울, 건강상태간의 Spearman상관분석을 시행하였고 가족기능도지수에 따라 3가지 유형으로 가족을 분류하여 스트레스, 우울정도를 분산분석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 가족기능도 지수(Family APGAR)는 전체 생활사건 스트레스 및 부정적 생활사건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성(각각 -0.30, -0.37 ; p<0.05)을 보였고 BEPSI와도 -0.56(p<0.0001)으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가족기능도지수는 우울척도와 -0.61(p<0.0001)로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고 코넬의학지수의 전체 57문항과는 0.45(p<0.05), 신체증상과는 0.38(p<0.05), 정신적 증상과는 0.40(p<0.05)으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 가족기능이 우수할수록 신체 및 정신 증상의 호소가 적다는 것을 추론할 수 었었다. 가족기능도지수(Family APGAR)에 따른 3가지 유형의 가족 비교에서, 생활사건 스트레스 량은 중증가능장애 가족이 중등도 기능장애 가족이나 건강한 가족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한국어판 BEPSI설문지로 측정한 스트레스도 가족기능이 불량한 경우 건강한 가족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가족기능에 따라 우울척도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3군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가족기능이 불량한 군이 건강한 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울점수가 높았다.

결론 : 자녀양육기에 해당하는 건강한 성인남자에서 가족기능이 부량한 군이 건강한 군과 비교시 생활 사건 스트레스 량과 우울정도가 큰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가족전체를 진료의 대상으로 하는 가정의는 가족의 기능을 적절히 평가하고 가족자원을 활용하여 환자 및 가족이 스트레스를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조정자로서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