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7;18(2):147-158.
Published online February 1, 1997.
The Influences of Life Stress to The Climacteric Symptoms.
Ki Heum Park, Nak Jin Sung, Sug Heong Jung, Jo Suk Choi, Suk Choi
갱년기 증상에 대한 생활 스트레스의 영향
박기흠, 성낙진, 정숙형, 조성수, 최석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포항병원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Even though there have been much improvement in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climacteric period and increased knowledge of biological aspects of menopause such as Hormone Replacement Therapy, the psychosocial aspects of climacterium was relatively out of consider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make it easy understanding the psychosocial determinants of climacterium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correlation between the life stress and the climacteric symptoms in the middle aged women.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on climacteric women at the age ranging from 40 to 55 who reside in Kyong-Ju city.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composed of inquiry ab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limacteric symptom scale, and life stress scale were distributed and 123 cases were analyzed in June. and July 1996. The Climacteric Symptom Scale was developed by JG Greene in 1976. In this scale, climacteric symptoms were classified to 3 categories of paychological, somatic, vasomotor symptoms by factor analysis. For quantitative measurement of stress, we used Office Stress Measurement Scale developed by BaeJM et al in 1992. We studied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scores and each class of climacteric symptoms, and the difference of climacteric symptom scores according to the menopausal statu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climacteric symptom scores and the stress scores was 0.329(P=0.000) but this correlation was significant in only premenopausal group(correlation coefficient=0.479). Among climacteric symptom classes, the correlation with stress scores is most prominent in psychological symptom class, then somatic symptoms, vasomotor symptoms. There was no difference in climacteric symptom scores to the menopausal statu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nclusion : Women who had more stress complained more climacteric symptoms, especially psychological symptoms. This correlation was significant in the premenopausal group only. And the severity of climacteric symptoms didn't chang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초록
연구배경 : 최근 갱년기 장애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높아지고 호르몬 대체요법과 같은 생물학적 접근법에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정신사회적인 면에 대한 고려는 부족한 형편이다. 저자는 생활 스트레스와 갱년기 증상의 연관성을 살펴봄으로써 갱년기의 정신사회적인 면의 이해를 돕고자 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6년 6월과 7월에 걸쳐 경주시에 거주하는 40-55세 사이의 갱년기 여성 123명을 대상으로 사회 인구학적 특성, 갱년기 증상 척도 및 생활 스트레스량 척도를 포함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고 그 응답 내용을 분석하였다. 갱년기 증상 척도는 1976년 Greene가 개발한 것으로, 인자 분석을 통해 심리 증상, 신체 증상, 혈관 운동성 증상의 세 범주로 나뉘는 21개 증상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생활 스트레스량 척도는 1992년 배종면등이 개발한 외래용 스트레스량 측정 도구 30문항을 이용하였다. 갱년기 증상 세 군과 스트레스량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였고, 갱년기 증상이 폐경 상태를 포함한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라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자료는 Foxbase+를 이용하여 입력하였으며 SPSS/PC로 통계 처리하였다.

결과 : 갱년기 증상의 심각도는 폐경 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폐경 전기보다 폐경 주변기와 폐경 후기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갱년기 증상과 생활 스트레스량 사이에는 상관 계수 0.329(P=0.000)로 중등도의 연관성이 있었다. 갱년기 증상을 세 군으로 나누어 보면 이 연관성은 심리 증상에서 가장 크고, 다음이 신체 증상, 혈관 운동성 증상이었다.

결론 :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여성일수록 갱년기 증상 특히 심리적인 증상을 많이 호소하였고, 갱년기 증상은 폐경 상태 및 사회 인구학적인 특성에 따라 심각도에 차이가 없었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