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event stress and climacteric symptoms. |
, Dong Wook Kim, Myung Kee Rah, Chi Young Ann, Bang Bu Yoon |
|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갱년기 증상 |
정성일, 김동욱, 라명기, 안치영, 윤방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
|
Abstract |
Background : The climacterium I defined as a group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ps commonly experienced in the middle ages due to estrogen deficiency, sociocultural and psy-chological gactors This analys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een climacteric sympotoms and life event cag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life event characteristics, possible medisting factors and climacteric symptomtology.
Methods : The data were collected at the Yonsei Medical Center, a outpatient clinic of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over a three month period from June, 1995 to August, 1995. Each female subject completed a 21 item symptom self-rating scale. This scale yielded three main in-dependent factors which were composed of 11 psychological symptoms and 7 somatic symptoms and 3 vasomotor symptoms. The level of life event stress experienced was measured by the Life Event Stress Rating Scale of House Wives in Seoul, which had been developed by Wan Sang Yoo(1994), and the Life Event Scale were subclassified into 6 life change items by Kang-E Hong and Do-En Jeong(198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AS program. Resul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macteric symptoms occurred between the 45~54 age group and the 55~65 age group(P<0.05). When the climacteric symptoms were subclassified into three subscal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climacteric symtoms is the 45~54 age group when compared with 55~64 age proup. Health stress of the six Life Event Stress Scal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omatic symptoms(P<0.05).
Conclusion : Health stress of the Life Event Stress Scale was correlated with somaticc symtoms of the climacteric symptom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omatic symp-toms were closely related with the Life Event Stress Scale. |
초록 |
연구배경 : 갱년기의 에스트로젠의 부족으로 인하여 겪게 되는 신체적 증상과 정신적 증상들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것으로 그 원인으로는 호르몬 변화뿐만 아니라 정신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변화와 갱년기 증상과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고 또한, 생활변화 요인 중 어떤 것이 폐경기 증상과 더 의미가 있는 지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 1995년 6월에서 8월까지 연세의료원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35~65세 여성 165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문에 응답한 121명 중 호르몬 치료를 하지 않고 갑상선 질환이 없는 109명을 대상으로 폐경기 증상(21-item rating scale)과 그 하부 증상 3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즉, 정신증상 11개, 신체증상 7개, 혈관운동 증상 3개으로 나눈 것을 번안하여 사용하였고, 생활사건 스트레스량(서울시 가정주부용 생활사건 스트레스척도, 1994 유완상 등)을 측정하여 이것을 6개 생활사건 범주(홍강의와 정도언의 분류지침, 1982)로 재분류하여 설문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 갱년기 증상은 나이군에 따라 45~54세군과 55~64세군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5). 갱년기 증상을 3가지 항목으로 분류하였을 때도 45~54세군이 55~64세군보다 마찬가지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P<0.05). 6개 스트레스유형 중 건강 스트레스가 신체증상에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P<0.05).
결론 : 생활사건 스트레스 중 건강에 관한 스트레스가 갱년기 증상 중 신체적 증상과 관련이 많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