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4;15(4):228-237.
Published online April 1, 1994.
Analysis of related factors to Menopausal syndrome.
Eun Sook Park, Ho Cheol Shin, Sun Myung Ock, Kyung Mee Kim
폐경기 증후군의 영향요인 분석
박은숙, 신호철, 옥선명, 김경미
가톨릭의과대학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Menopausal syndrome is defined as a group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commonly experienced in the climacteric period due to estrogen deficiency, sociocultural factors and psychological ones. Although much of the literature on the menopause is dominated by physiological issues, there is now more interest in the sociocultural, psycological factors. So it is considerably important to understand variables which are attributing menopausal symptoms.

Methods : Data were obtain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cluding menopausal index by Kupperman et al, family APGAR, sociocultural facto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exual ones. At this survey, the respondents were 340 menopausal women who visit health check-up center and family practice office.

Results : The variables positively associated with menopausal index included family APGAR,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exercise. But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family APGAR and educa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enopausal index.

Conclusion : This analys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opausal syndrome and related variables. The variety of menopausal symptoms result from interaction between these many factors. So family physicians should have a comprehension about sociocultural and family factors in management of menopausal syndrome.
초록
연구배경 : 폐경기 증후군은 신체적 증상과 정신적 증상들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것으로 그 원인으로는 호르몬 변화 뿐 아니라 정신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들이 있으나, 아직까지는 이에 대한 연구결과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경기 증후군과 가족기능, 사회경제학적 요인 및 건강행동적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 1993년 4월부터 6월까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4개의 가톨릭 의과대학 부속병원의 가정의학과 외래 및 종합 검진 센터를 방문한 340명의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 Kupperman의 폐경지수와 가족기능도지수 및 사회경제학적 요인과 건강행동적 요인들을 설문조사하였다. 결과는 폐경지수와 각각의 변수들과의 관계를 t-test와 Logistic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의 평균 연령은 54.0±5.0이었고, 폐경지수의 평균은 19.75±10.85였다. 폐경지수와 양성 연관을 보인 변수는 가족기능도지수, 결혼 상태, 교육수준, 규칙적인 운동의 유무이었다. Logistic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독립변수간의 교호작용을 제거한 후에는 가족기능도지수와 교육수준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다.

결론 : 폐경기 증상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가족기능과 교육수준이었고, 가족기능이 좋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폐경기 증상이 적었다. 폐경기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를 진료시 가족기능과 사회문화적 요소들도 고려되어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