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6;17(8):633-641.
Published online August 1, 1996.
A Study on Health Behaviors of College Freshmen.
Han Sik Choi, Hee Ja Choi, Kwang Eui Hong, Byung Sung Kim, Hyun Rim Choi
대학 신입생들의 건강행위에 관한 조사
최한식, 최희자, 홍광의, 김병성, 최현림
경희대학교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It is well known fact that health behaviors affect one's health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freshmen's health behaviors and the degree of practice,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of their health behaviors with their health state, family APGAR scores, family income, salt in foods, and so on.

Methods : A self-record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d to 6150 freshmen who had taken physical checkup for university or college entrance in K Medical Center, from December 1994 to February 1995. We analyzed what they think important and the degree of practice. And we made statkstkca analysis of the family APGAR score, family income, subjective health status, past medical history, BMI, health foods, sex, salt in meals and health practice index by means of correlation and nonparametric statistics. We used the sum of eight items scores for health behaviors as health practice index.

Results : Number of male freshmen was 2982(48.5%), female was 3162(51.5%). Good practicing group in male was 13.9% compared to 16.4% in female. The family APGAR, salt in meals and subjective health state had significant(p<0.05) correlations with health behavior scale in both male and female. And BMI in male, age, family income, self breast examination in female had, correlations too.
Which they thought was important to maintain and promote health were regular exercise(92.1%), maintenance of balanced diet(90.4%), regular lifestyle(872%), proper sleeping and rest(85.9), maintenance of psychological comfort(84.1%), no smoking and no drinking(20.9%), regularly visiting hospital(7.0%) and eating health foods(3.5%). But only 11.5% of them exercised regularly, and 55.6% ate health foods.

Conclusion : In spite of their great concerns for regular exercise, a few of the subjects exercised and they preferred to take health foods for health. The health practice index was high in group of high family APGAR scores, those who regarded their health as goods and those who ate insipidly. Health state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health behvaiors in the freshmen group, so it is helpful to public health promotion to let them know this fact.
초록
연구

방법 : 건강유지와 건강증진을 위한 행태가 건강수준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우리 나라 일부 대학 신입생들의 건강행위의 실천상태를 알아보고, 건강상태 및 가족기능도지수 등과 건강행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4년 12월부터 1995년 2월까지 K의료원에서 신입생 신체검사를 받은 4개 대학 전후기 신입생 6,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신의 건강을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건강행위들과 실천상대를 파악하고, 건강검진, 감염접종, 혈압측정, 흡연, 운동, 음주, 수면, 아침식사 등 8가지에 대한 실천여부에 따라 각 항목마다 0 또는 1점씩 하여 합한 값을 건강실천지수로 사용하여, 0-2점은 건강행위를 잘 안하는 그룹, 3-4점은 보통인 그룹, 5-8점은 잘 하는 그룹으로 나누어 성별, 연령, 비만도, 건강식품, 자신의 건강에 대한 평소 생각, 질병유무, 가족기능도지수 등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 조사 대상자 6,150명중 불성실 응답자 6명을 제외한 6,144명 중 남자는 2,982명(48.5%), 여자는 3,162명(51.5%)이었다. 남학생 중에서 건강행위를 잘 하는 그룹이 13.9%인데 반해 여학생 중에서 건강행위를 잘 하는 그룹은 16.4%였다. 남학생에서는 체질량지수(BMI), 가족기능도지수(APGAR) 및 식사의 염분도가 건강행위와의 관련성이 유의하게 있었고(P<0.05), 여학생에서는 나이, 가족기능도, 가족의 월수입, 식사염분도 및 자가유병검진과 건강 행위와의 관련성이 유의하게 있었다(P<0.05).
건강의 유지 및 증진을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규칙적인 운동(92.1%), 적절한 식생활(90.4%), 규칙적인 생활(87.2%), 적절한 수면과 휴식(85.9%), 심리적·정서적 안정(84.1%), 금연·금주(20.9%), 정기적 병원방문(7.0%), 보약·영양제 복용(3.5%)이었으나, 실제로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는 학생은 11.5%에 지나지 않았고, 보약이나 영양제를 복용하고 있는 학생이 58.6%로 나타났다. 복용중인 건강식품으로는 한약제 55.6%, 비타민제나 영양제 53.3%, 벌꿀류(로얄제리) 7.8%, 영지버섯 4.1%, 기타 2.1%로 나타났다.

결론 : 자신의 건강을 위해 규칙적인 운동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운동을 적게 하고 보약이나 영양제를 많이 복용하고 있었다. 가족기능도지수가 높은 그룹, 자신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그룹, 음식을 싱겁게 먹는 그룹에서 건강실천지수가 높게 나왔다. 따라서 대학 신입생들 나이 정도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건강행위 실천을 위한 홍보와 교육을 시행하는 것이 국민건강 증진에 보탬이 될 것이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