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alence and Significance of an Abnormal Results of Electrolyte Test in a Periodic Health Examination. |
Go Eun Lee, Sae Ah Park, Sun Woo Sung |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Korea. sws@amc.seoul.kr |
건강 검진에서 나타난 전해질 검사 이상과 그 의의 |
이고은,박세아,선우성 |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교실 |
|
|
Abstract |
Background :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undergo periodic health examination but due to its lack of a standardized method of examination and failure meet individual's specific, it has led to a huge wasting of resources. Thus, electrolyte tests performed during a routine health examination were reviewed to determine their significance and usefulness in mass screening.
Methods : We gathered 6,514 healthy cases who had received a periodic health examination at Asan Medical Center in August and December 2002. We reviewed the charts of the people who had abnormal results in electrolyte tests.
Results :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46 years (range 14∼82). Abnormal electrolyte results were relatively common. Four hundred and sixty one cases out of 26,056 (1.76%) had abnormal results. Abnormal results in sodium, potassium, calcium, and phosphorus were detected in 1.76%, 0.56%, 1.44%, and 3.53%, respectively. Only 16 of the 461 (0.06%) patients with abnormal results were recommended to visit a physician and only one of these cases revealed to have a new disease.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electrolyte test is unnecessary as a screening test since only one case was revealed to be beneficial from it. Most of the cases involving abnormal electrolyte results did not need any treatment. Considering the cost benefit effect, a potential increase in false positive rate, and false negative rate, electrolyte tests should be reconsidered as a screening tests in periodic health examination. |
Key Words:
screening, laboratory test, electrolyte test |
초록 |
연구배경 : 우리나라의 정기 건강검진 수검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통일된 시행 기준이 없어 기관마다 제각각 시행되고 있고, 누구에게나 획일적으로 시행됨으로써, 많은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불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많은 검사들 중의 하나인 전해질 검사 이상과 그 의의를 알아보기 위해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2년 8월과 12월에 각각 송파구 소재 일개 3차 병원의 건강 증진 센터를 내원한 남녀를 대상으로 전수 조사하였고, 모든 피검자에게서는 전해질 검사가 시행되었었다. 이 중 전해질 검사 이상을 보인 사람들에 한해 개개인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결과 : 전해질 이상은 나트륨 1.76%, 칼륨 0.56%, 칼슘 1.44%, 인 3.53%, 평균 1.76%로 비교적 흔하게 발생했다. 하지만, 의사가 전해질 이상으로 재검을 위해 외래 방문을 권유한 경우는 나트륨 0.07%, 칼륨 0.04%, 칼슘 0.09%, 인 0.03%, 평균 0.06%로 약 1/30도 되지 않았다. 그리고, 재검 후 새로운 진단을 받고, 치료를 한 경우는 1예였다.
결론 : 건강검진에서의 전해질 검사는 진단에 직접적인 도움을 준 경우가 1예(1/26,056)로 매우 드물었고, 조기 발견을 했다 하더라도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없었다. 또한 이러한 검사를 남발했을 경우의 위양성, 위음성의 증가, 비용 효과적인 면 등을 고려해 볼 때, 건강검진에서의 전해질 검사의 유용성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중심 단어:
선별검사, 건강검진, 종합검진, 검사실 검사, 전해질 검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