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2;23(1):112-121.
Published online January 1, 2002.
Risk factors of delirium in elderly inpatients.
Seong Wook Hwang, Seong Wook Kang, Young Gon Kang, Seung Gon Choi, Jin Lee, Moon Jong Kim, Young Jin Lee, Chul Young Ba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Pundang Cha General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Pochun Chung -Moon University, Korea.
노인 환자에서 섬망을 일으키는 위험인자
황성욱, 강성욱, 강영곤, 최승곤, 이진, 김문종, 이영진, 배철영
포천 중문의대 분당차병원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risk factors of delirium in general hospital's elderly inpatients.

Methods : A case-control study design was used. Forty cases and age-sex matched 120 controls were identified using hospital discharge data from June 1995 to May 2001. The controls were selected during the same period. The clinical records of each subject were reviewed using discharged disease code to select cases. Subsequently, the data were recorded from clinical records.

Results : The subjects admitted with delirium with delirium tended to have increased age (P=0.007), hypoxia (P=0.018), low hemoglobin(P=0.011), sleep disturbance(P=0.001), more ADL total dependence(P=0.018), diagnoses with infections (P=0.006), diabetes (P=0.046), and hypertension (P=0.041). Above risk factors seemed to be clinically associated with delirium.

Conclusion :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rapid infection control, maintenance of good sleep hygiene, well-controlled diabetes and hypertension, and correction of hypoxia may help to prevent delirium in general hospital's elderly inpatients.
초록
연구배경 : 노인 환자에서 흔하면서도 심각한 합병증인 섬망은 치명율이 높이고 재원 기간의 연장 및 지속을 가져올 수 있다. 섬망을 일으키는 원인은 다양하면서 다인자적 성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당차병원 가정의학과에 입원 후 섬마을 보인 환자에서 원인이 되는 예방 가능했던 인자들을 파악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환자에서 특성을 파악해 보고자 이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법 : 1995년 6월부터 2001년 5월까지 분당 차병원 가정의학과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노인환자 556명 중 섬망을 보인 40명과 나이와 성별을 감안한 120명의 대조군 간에 섬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진 인자에 대해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결과 : 섬망군과 비 섬망군 간의 카이 자승 검사상 전해질 불균형이 있거나(P=0.002), 우울한 기분이 있거나(P=0.009), 고혈압이거나(P=0.049), 식전 혈당이 비정상이거나(P=0.013), 저산소증이 있거나(P=0.000), 수술력이 있거나(P=0.001), 수면 장애가 있던 경우(P=0.000), 소변 저류가 있던 경우(P=0.021), 감염이 있던 경우(P=0.000), 인지기능의 장애가 있는 경우(P=0.000) 섬망이 잘 나타났다. t-검정 결과 헤모글로빈이 낮을수록(P=0.002), 알부민이 낮을수록(P=0.006), 입원 일수가 길수록(P=0.001), ADL 이나 IADL 전부 의존도가 높을수록(P=0.000, 0.000) 섬망이 잘 나타났다. 각각의 변수의 독립된 영향을 알아보고자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고령일수록 1.142배(P=0.007), 저산소증이 있을 때 7.57배(P=0.018), 헤모글로빈 1g/dl 감소 시 1.652배(P=0.011), 수면 장애 시 12.886배(P=0.001), ADL 전부 의존도 항목이 하나 줄면 0.698배(P=0.018), 감염이 있을 때 5.374배(P=0.006), 식전 혈당이 높을 때 3.204배 (P=0.046), 고혈압 일 때 5.459배(P=0.041) 섬망의 발생 위험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나이, 저산소증, 낮은 헤모글로빈, 수면장애, 높은 ADL 전체의존도, 감염, 높은 식전 혈당과 고혈압 등 8가지의 섬망 위험인자를 찾을 수 있었다. 이런 인자의 중점적인 관리와 대비로 섬망 발생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