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1;22(3):316-323.
Published online March 1, 2001.
The correlation between simple anthropometric indices and abdominal visceral fat accumulation by computed tomography.
Seung Wook Shin, Youn Seon Choi, Young Mee Lee, Do Kyoung Yoon, Kyung Hwan Cho, Myung Ho Hong, Jung Ah Chang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2Sinbanpo Clinic.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한 복부내장지방량과 단순 비만지표와의 상관관계
신승욱, 최윤선, 이영미, 윤도경, 조경환, 홍명호, 장정애
1
2
Abstract
Background
: A predominant accumulation of adipose tissue in abdominal region confers in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best technology available for measurement of regional fat distribution is computed tomography. However, computed tomography is limited its use for clinical purposes by cos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best simple anthropometric index of abdominal visceral fat accumulation.

Methods : To qua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nthropometric indices of abdominal obesity (waist circumference, waist-to-hip ratio, waist-to-height ratio, body mass index, abdominal sagittal diameter) and abdominal(total, visceral, subcutaneous) fat areas measured by computed tomograph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have been conducted.

Results :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waist circumference, body mass index and sagittal diameter between men and women have been found. Mean value of waist-to-hip ratio is larger in women, but waist-to-height ratio is larger in men. The mean abdominal total fat area and mean subcutaneous fat area are higher in women. Interestingly, men, despite lower total fat area, have higher mean abdominal visceral area. Thus, the mean visceral fat-to-subcutaneous fat ratio is much higher in men. Abdominal sagittal diameter shows the highest correlation(men: 0.69), women: 0.76) with abdominal visceral fat area in both genders. stepwise analyses have been performed to determine the best simple anthropometric index of abdominal visceral fat accumulation. In men, the significant indices are abdominal sagittal diameter, body mass index, and waist-to-height ratio. In women, abdominal diameter is the only significant index.

Conclusion : Abdominal sagittal diameter, in comparison with the waist circumference, waist-to-hip ratio, waist-to-height ratio and body mass index, is the best predictor of the amount of abdominal visceral fat.
초록
연구배경 : 비만은 성인에 있어 다수의 질환의 유병율을 증가시키는 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복부내장지방은 심혈관계 질환과 조기 사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복부내장지방을 가장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은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알려져 있으나 임상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지 않다.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한 복부지방과 단순 비만지표와의 상관성을 비교하여 비만에 의한 대사이상과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를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지표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8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모대학병원 가정의학과 비만 크리닉에 내원하여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해 복부지방층 측정을 시행한 8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측정한 복부지방량과 허리둘레, 허리둔부둘레비, 허리신장비, 체질량지수, 복부시상직경 등의 단순 비만지표와의 상관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SPSS WIN 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계수를 구하고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복부시상직경은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허리둔부둘레비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고, 허리신장비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으며, 복부총지방량은 여자 (평균 375.1 cm2)가 남자 (평균 318.7 cm2)보다 많았으나 복부내장지방량은 오히려 남자 (평균 145.9 cm2)가 여자 평균(115.4 cm2)보다 많아 내장지방/피하지방 비는 남자 (평균 0.90)가 여자 (평균 0.47)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내장지방량과 단순비만지표와 상관관계는 남자에서 체질량지수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여자에서는 모든 단순비만지표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1). 복부내장지방량과의 상관관계 정도는 남녀 모두에서 복부시상직경(남자:0.69, 여자: 0.76)이 가장 높았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남자에서는 복부시상직경, 체질량지수, 허리신장비의 순서로 의의가 있었으며 여자에서는 복부시상직경만이 의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남녀 모두 복부시상직경이 복부내장지방량을 가장 잘 반영하는 지표로 나타났다.

결론 : 복부시상직경이 허리둘레, 허리둔부둘레비, 허리신장비, 체질량지수보다 복부내장지방량을 반영하는 지표로서 우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앞으로 간편하게 복부시상직경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과 함께 보다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