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1;22(11):1596-1602.
Published online November 1, 2001.
Associated factor of prevalence of asymptomatic gallstone.
Seung Wook Hwang, Sang Woo Ou, Han Jin Lee, Seu Young Lim, Jeong Hee Yang, Be Long Cho, Bong Yul Huh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Korea.
무증상 담석증의 유병과 관련된 요소
황승욱, 양정희, 조비룡, 허봉렬, 오상우, 이한진, 임수영
서울대학병원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Because of improvement of economic state and eating habit changes in Korea, 60-70% of gallbladder stones are cholesterol stones. As ultrasonography was used increasingly, detection of asymptomatic gallstone were increased. There has been few studies about asymptomatic gallstone in Korea. So,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tain associated factor of prevalence of asymptomatic gallstone.

Methods : We screened adults over 20 years who were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in a university hospital from May 1995 to May 1999. Subjects were defined as case group(584 subjects) who were diagnosed gallstone by abdominal ultrasonogaphy by radiologist. Control group(1153 subjects)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from visitors of the Health Promotion Center. Every subjects were assessed with respect to gender, age, height, weight, fasting blood glucose, serum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triglyceride. Social-Economic state, smoking were assess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ssociated factor of prevalence of asymptomatic gallstone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 Age, BMI(Body Mass Index), fasting blood glucose were associated with gallstone by Chi-square test(P<0.05).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prevalence of asymptomatic gallstones was increased by age (>40 years old) and were associated with BMI (>25㎏/㎡), fasting blood glucose.

Conclusion : Associated factors of prevalence of asymptomatic gallstone were increased by age (>40 years old) and were associated with BMI (>25㎏/㎡), fasting blood glucose, and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in West countries.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about associated factors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gallstone and developing from asymptomatic gallstone to symtomatic gallstone.
초록
연구배경 : 한국인의 경제수준 향상과 식생활습관의 향상으로 한국인의 담낭담석의 60-70%가 콜레스테롤 담석으로 밝혀지고 있다. 또 초음파검사의 보편화로 무증상 담석증 환자의 수가 늘어가고 있으며, 한국에서의 연구들은 증상이 있는 담석증을 중심으로 주로 이루어 졌다. 그러므로 이런 변화 속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무증상 담석증의 유병과 관련된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하였다.

방법 : 1995년 5월 1일부터 1999년 5월 31일까지 서울에 있는 일개 대학병원의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하여 진료를 받은 20세 이상의 성인 중 복부 초음파 검사 상 담석증을 진단받은 584명의 환자군과 대조군으로 선택된 1,15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성별, 나이, 신장, 공복시 혈당,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이 측정되었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사회인구학적 인자와 흡연력이 조사되었다. 무증상 담석증의 유병과 관련된 요소에 대한 분석은 카이제곱 검정으로 단변량 분석을 한 후, 관련된 요소들에 대하여 중회귀 로짓 분석을 이용하여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령, 체질량 지수, 공복시 혈당이 단변량 분석에서 무증상 담석증의 유병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P<0.05). 단변량 분석에서 연관성이 있는 연령, 체질량 지수, 공복시 혈당에 대한 중회귀 로짓 분석에서 40세 이상의 성인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무증상 담석의 유병이 증가하는 연관성이 있었으며, 체질량 지수가 25(Kg/m2)이상인 비만과 공복시 혈당이 126 mg/dl 이상인 경우에서 무증상 담석증의 유병에 연관성이 있었다(P<0.05).

결론 : 무증상 담석증의 유병과 관련된 요소로는 40세 이상에서의 연령의 증가, 25이상인 체질량 지수, 공복시 혈당이 유의하게 연관성이 있었다. 앞으로 담석 성분의 차이에 따른 관련 요소와 무증상 담석증 환자에서 증상이 발생한 담석증환자의 관련 요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